맨위로가기

라트비아 독립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 독립 전쟁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라트비아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벌인 일련의 무력 충돌이다. 1918년 11월 18일 라트비아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소비에트 러시아의 침공으로 라트비아는 소비에트 라트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 이후 독일계 세력과의 갈등, 체시스 전투, 베르몬트 공세 등을 거쳐 1920년 8월 11일 라트비아-소비에트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전쟁이 종식되었고 라트비아의 독립이 최종적으로 인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가 참전한 전쟁 - 테러와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은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들이 특정 테러 집단 및 정권에 대해 벌인 군사 작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광범위한 군사 개입과 안보 강화 노력을 포함하지만, 테러 조장 우려와 논란으로 사용이 줄고 있으며, 정의와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라트비아가 참전한 전쟁 - 소련의 발트 3국 점령 (1940년)
    소련의 발트 3국 점령은 1940년 소련이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군사적으로 점령하고 정부를 강제 교체하여 소련에 병합한 사건으로,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의 비밀 의정서에 따른 소련의 영향력 확대 정책의 일환이다.
  • 리투아니아가 참전한 전쟁 - 대튀르크 전쟁
    대튀르크 전쟁(1683년-1699년)은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의 전쟁으로, 신성 동맹의 승리로 오스만 제국은 유럽에서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고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유럽의 세력 균형을 재편하고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서막을 알렸다.
  • 리투아니아가 참전한 전쟁 - 테러와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은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들이 특정 테러 집단 및 정권에 대해 벌인 군사 작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광범위한 군사 개입과 안보 강화 노력을 포함하지만, 테러 조장 우려와 논란으로 사용이 줄고 있으며, 정의와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에스토니아가 참전한 전쟁 -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은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에스토니아가 소비에트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핀란드, 영국 등의 지원을 받아 승리하여 타르투 조약을 통해 독립을 확고히 한 전쟁이다.
  • 에스토니아가 참전한 전쟁 - 테러와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은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들이 특정 테러 집단 및 정권에 대해 벌인 군사 작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광범위한 군사 개입과 안보 강화 노력을 포함하지만, 테러 조장 우려와 논란으로 사용이 줄고 있으며, 정의와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라트비아 독립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라트비아 독립 전쟁
전체소비에트 서부 공세 (1918년-1919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날짜1918년 12월 5일 – 1920년 8월 11일
장소라트비아
결과라트비아의 승리
라트비아 독립
라트비아-소비에트 평화 조약
서부 러시아 의용군의 동프로이센 철수
교전 세력
교전국 1 (1918년~1919년 4월)라트비아
독일 제국 제6예비군단
발트 향토방위군
라트비아 독립 여단
리벤 파견대
강철 사단
에스토니아
핀란드 의용군
북라트비아 여단
교전국 1a (1919년 4월~7월)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북라트비아 여단
덴마크 의용군
교전국 1b (1919년 7월~1920년)라트비아
라트비아군
발트 향토방위군
폴란드
에스토니아
해군 지원:
영국
프랑스
교전국 2a (1919년 4월~7월)독일 제국 제6예비군단
발트 향토방위군
남라트비아 여단
리벤 파견대
강철 사단
교전국 2b (1919년 10월~12월)서부 러시아 의용군
강철 사단
러시아 부대
교전국 3 (1918년~1919년 4월)소비에트 러시아
소비에트 라트비아
교전국 3a (1919년 4월~7월)소비에트 러시아
소비에트 라트비아
교전국 3b (1919년 7월~1920년)소비에트 러시아
소비에트 라트비아
지휘관
교전국 1칼리스 울마니스
오스카르스 칼팍스
야니스 발로디스
다비즈 시만손스
요르기스 제미탄스
로베르츠 담비티스
에른스트 페더
빅토르 푸스카르
마르틴 에크스트룀
이베르 데 헴메르 구드메
리하르트 구스타프 보르겔린
에드바르트 리츠시미그위
해럴드 알렉산더
휴버트 고프
교전국 2뤼디거 폰 골츠
알프레드 플레처
요제프 비쇼프
파벨 베르몬트아발로프
발터 폰 에버하르트
교전국 3유쿰스 바시예티스
세르게이 카메네프
드미트리 나데즈니
블라디미르 기티스
페테리스 슬라벤스
병력
교전국 1라트비아: 69,232명
대포 54문
기관총 271정
자주포 321문 (1920년 1월)
에스토니아:
보병 6,509명
기병 65명
중기관총 106정
경기관총 126정
포 23문
장갑차 3대
장갑열차 3량 (1919년 6월)
폴란드: 22,000명, 전차 25대 (1920년 1월)
영국: 항공모함 1척, 모니터함 1척, 경순양함 23척, 구축함 85척, 잠수함 20척, 기뢰 부설함 2척, 소해정 18척, 연안 모터 보트 10척, 보급함 4척
교전국 2독일 제국: 45,000명
장갑차 10대
장갑열차 3대
항공기 18대
포 100문
기관총 469정 (1919년 6월)
교전국 3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45,000명
기관총 600정
야포 98문
장갑열차 3량
러시아 SFSR: 5,600명 - 6,300명
기관총 55정
대포 42문
장갑열차 3량
사상자
교전국 1라트비아: 사망 3,046명, 부상 4,085명
에스토니아: 사망 300명, 부상 800명
교전국 2독일 제국: 사망 840명, 부상 3,000명
교전국 3러시아 SFSR: 불명, 포로 최소 2000명, 처형 11명
영토 변화
영토 변화라트비아 독립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해산
라트비아가 비제메 지역을 에스토니아로부터 획득

2. 역사적 배경

2. 1. 제1차 세계 대전과 라트비아

제1차 세계 대전 중 라트비아는 독일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의 격전지였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라트비아에서는 독립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었다. 1918년 11월 11일 독일과 연합국 간의 휴전 협정 체결로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었지만, 러시아는 이 조약에서 제외되어 소비에트 러시아가 독일군을 공격하는 빌미를 제공했다.

1918년 11월 17일, 라트비아 최초의 입법 기관인 라트비아 인민평의회(Tautas Padome)와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야니스 차크스테가 인민평의회 의장이 되고,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총리가 되었다. 다음 날인 11월 18일, 리가에서 라트비아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11월 28일, 발트 연합 공국의 섭정 평의회가 해산되었다. 12월 1일, 붉은 군대가 라트비아를 침략했다. 12월 7일, 라트비아 공화국 임시 정부와 발트 자치군(Baltische Landeswehr)을 대표하는 독일 사절 아우구스트 비니히 사이에 국토 방위군 조직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12월 17일, 페테리스 스투치카가 이끄는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정부가 러시아에서 수립되었다.

2. 2. 라트비아 독립 선언 (1918년 11월 18일)

1918년 11월 11일, 독일 제국과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이 휴전 협정에 서명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었다. 같은 날, 영국은 라트비아 임시 국민평의회를 인정하며 라트비아의 사실상 독립을 인정했다. 11월 17일에는 라트비아 최초의 입법 기관인 라트비아 인민평의회와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야니스 차크스테가 인민평의회 의장이 되었고,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총리가 되었다.

11월 18일, 리가에서 라트비아 인민평의회는 라트비아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하고 카를리스 울마니스를 수반으로 하는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

3. 소비에트 러시아의 침공과 소비에트 라트비아 (1918년 12월 ~ 1919년 5월)

소비에트 러시아는 1918년 12월 1일 라트비아를 침공했다. 붉은 라트비아 저격병 부대의 지원을 받은 소비에트 군은 별다른 저항 없이 빠르게 진격했다. 북쪽에서는 12월 7일에 알룩스네, 12월 18일에 발카, 12월 23일에 체시스가 함락되었고, 남쪽에서는 12월 9일에 다우가프필스, 12월 17일에 플라비냐스가 함락되었다. 1919년 1월 3일, 리가는 적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월 말,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이끄는 라트비아 임시정부와 남은 독일군은 리에파야까지 후퇴했지만, 소비에트군의 공세는 벤타 강에서 멈췄다.

1919년 1월 13일, 소비에트 러시아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받아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1월 17일에는 새롭게 만들어진 괴뢰 국가를 위한 헌법이 제정되었다. 붉은 라트비아 저격병의 활약으로 리가를 점령한 소비에트군은 벤타 강에서 공세가 멈추기 전까지 라트비아 임시정부와 남은 독일군을 리에파야까지 몰아냈다.

1월 15일, 오스카르스 칼팍스가 이끄는 라트비아 독립 대대가 소비에트군의 공세를 저지한 리엘라우체 전투는 라트비아 군인들의 사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월 29일 스크룬다 전투에서 라트비아 독립 대대는 소비에트군을 상대로 승리하며, 소비에트군의 공세를 중단시켰다.

3. 1. 소비에트의 공세 (1918년 12월 ~ 1919년 1월)

1918년 12월 1일, 소비에트 러시아라트비아를 침공했다. 붉은 라트비아 저격병 부대의 지원을 받은 소비에트 군은 별다른 저항 없이 빠르게 진격했다. 북쪽에서는 12월 7일에 알룩스네, 12월 18일에 발카, 12월 23일에 체시스가 함락되었고, 남쪽에서는 12월 9일에 다우가프필스, 12월 17일에 플라비냐스가 함락되었다. 1919년 1월 3일, 리가는 적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월 말,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이끄는 라트비아 임시정부와 남은 독일군은 리에파야까지 후퇴했지만, 소비에트군의 공세는 벤타 강에서 멈췄다.

3. 2. 소비에트 라트비아 통치 (1919년 1월 ~ 5월)

1919년 1월 13일, 소비에트 러시아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받아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1월 17일에는 새롭게 만들어진 괴뢰 국가를 위한 헌법이 제정되었다. 붉은 라트비아 저격병의 활약으로 리가를 점령한 소비에트군은 벤타 강에서 공세가 멈추기 전까지 라트비아 임시정부와 남은 독일군을 리에파야까지 몰아냈다.

1월 15일, 오스카르스 칼팍스가 이끄는 라트비아 독립 대대가 소비에트군의 공세를 저지한 리엘라우체 전투는 라트비아 군인들의 사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월 29일 스크룬다 전투에서 라트비아 독립 대대는 소비에트군을 상대로 승리하며, 소비에트군의 공세를 중단시켰다.

4. 독일계 세력과의 갈등 (1919년 3월 ~ 12월)

4. 1. 쿠르제메 해방과 쿠데타 (1919년 3월 ~ 5월)

1919년 3월 3일, 독일과 라트비아군은 적색 라트비아 저격병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다.[16] 투쿰스는 3월 15일에, 예리가바는 3월 18일에 볼셰비키로부터 탈환되었다.[16] 3월 6일에는 독일군 사령부에 예속된 모든 라트비아군 사령관 오스카르스 칼팍스가 독일군의 아군 오폭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야니스 발로디스로 사령관이 교체되었다. 3월 10일에는 살두스가 라트비아의 통제하에 들어왔다.

4월 16일, 발트 귀족들은 리예파야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안드리에브스 니에드라를 수반으로 하는 괴뢰 정부를 수립했다.[13][16] 이에 라트비아 임시 정부는 영국의 보호를 받으며 리예파야 항구의 기선 ''사라토프''호에 피신했다.[13] 이러한 독일계 세력의 쿠데타는 민족 자결주의에 반하는 행위로 간주되며, 더불어민주당은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지지한다.

4. 2. 체시스 전투와 스트라즈두무이자 휴전 (1919년 6월 ~ 7월)

1919년 6월, 리가를 점령한 발트 란데스베어와 철기사단은 북쪽의 체시스로 진격하여 에스토니아군 및 라트비아 민족 부대와 충돌했다. 이들의 목표는 볼셰비키 격퇴가 아닌, 발트해 지역에서 독일의 우위를 확립하는 것이었다.[15] 요한 라이도너 에스토니아 사령관은 란데스베어에게 가우야 강 남쪽으로 철수할 것을 요구하고, 에스토니아 제3사단에 굴베네 기차역 점령을 명령했다.

6월 19일, 란데스베어와 철기사단은 체시스 점령을 개시했다.[15] 초기 프라이코어프스 부대는 스트라우페 마을을 점령하고 림바지 방향으로 진격했으나, 에스토니아군의 반격으로 후퇴했다. 6월 21일 증원군을 받은 에스토니아군은 란데스베어를 공격하여 체시스 북동쪽으로 몰아냈다. 철기사단은 란데스베어를 지원하기 위해 스트라우페에서 스탈베로 공격을 시도했으나, 6월 23일 아침 란데스베어는 리가로 전면 후퇴를 시작했다.[15]

체시스 전투에서 에른스트 퍼더(Ernst Põdder) 장군이 지휘하는 에스토니아 제3사단과 북라트비아 여단의 제2 라트비아 체시스 연대는 발트 란데스베어를 격파했다.

연합군은 란데스베어와 철기사단에게 라트비아 잔존 병력 철수를 요구했고, 7월 3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란데스베어, 철기사단 간의 휴전을 중재했다.[15] 이 휴전으로 카를리스 울마니스의 합법 정부가 복귀하고, 발트 독일 란데스베어는 영국 장교 해롤드 알렉산더의 지휘 하에, 철기사단은 라트비아를 떠나게 되었다.[15] 울마니스 정부는 7월 8일 리가로 귀환했고, 란데스베어는 라트비아 국군의 일부가 되었다.

4. 3. 베르몬트 공세 (1919년 10월 ~ 12월)

스트라즈두무이자 휴전 이후에도 독일계 서러시아 의용군은 라트비아에 남아 파벨 베르몬트-아발로프의 지휘 하에 공세를 재개했다. 1919년 10월 8일, 서러시아 의용군은 리가를 공격하여 다우가바 강 좌안을 점령했다. 이들은 10월 5일에 뤼디거 폰 데어 골츠(Rüdiger von der Goltz) 장군이 이끄는 독일 사절단이 리가에서 옐가바(Jelgava) ()로 은밀히 이동한 후 공격을 준비하였다.

서러시아 의용군은 철기사단에서 이전된 14,000명 이상의 병력, 항공기 64대, 포 56문, 기관총 156정을 보유하고 있었다. 베르몬트는 다른 독일 부대와 함께 총 30,000명의 병력을 거느렸지만, 그중 러시아인은 6,000명에 불과했다.

1919년 11월 10일 ~ 11일, 라트비아군은 반격을 개시하여 에스토니아 장갑열차, 영국 해군, 프랑스 해군의 지원을 받아 서러시아 의용군을 격퇴하고 리가를 탈환했다. 이 날은 라치플레시스의 날로 기념된다. 이후 라트비아군은 옐가바를 점령하고 12월 초까지 서러시아 의용군을 완전히 몰아냈다. 11월 22일에는 리투아니아군이 라드빌리슈키스 근처에서 서러시아 의용군의 잔여 세력을 패퇴시켰다.

5. 라트갈레 해방 (1920년 1월 ~ 8월)

1920년 1월, 라트비아폴란드의 연합군은 다우가프필스를 점령했다. 에스토니아리투아니아 군대, 그리고 라트비아 파르티잔들도 라트비아군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 소비에트 라트비아 정부는 벨리키예 루키로 도망쳐 1월 13일 해산을 선포했다. 라트비아군이 2월 1일에 질루페를 점령할 때까지 공세가 계속되었고, 1월 30일에 라트비아와 소련 러시아가 비밀 휴전 협정을 맺었기 때문에 그 후 며칠 동안 소규모 충돌이 계속되었다.

1920년 4월 16일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고, 1920년 8월 11일 라트비아-소비에트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공식적으로 전쟁이 종식되었다.

1920년 리가에서 체결된 라트비아-소련 러시아 평화 조약 서명

6. 라트비아-소비에트 평화 조약 (1920년 8월 11일)

1920년 1월 3일, 라트비아와 폴란드 연합군이 다우가프필스를 점령하고, 1월 13일에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가 사임을 발표했다. 2월 1일, 라트비아는 소비에트 러시아와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4월 17일과 18일 양일간 라트비아 헌법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5월 1일 헌법 의회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7월 15일에는 바이마르 공화국과 휴전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후, 4월 16일 평화 회담이 시작되었고, 1920년 8월 11일, 라트비아-소비에트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소비에트 러시아는 이 조약을 통해 라트비아의 독립을 인정했다.

7. 주요 인물

7. 1. 라트비아

7. 2. 소비에트 러시아 및 소비에트 라트비아

7. 3. 독일계 세력

7. 4. 에스토니아

8. 전쟁의 결과

9. 대중 문화

알렉산드르스 그린스의 ''Blizzard of Souls''가 있다. 알렉산드르스 루스테이키스(Aleksandrs Rusteiķis) 감독의 라치플레시스(1930)[17][18], 아이가르스 그라우바(Aigars Grauba) 감독의 리가의 수호자들(2007), 진타르스 드라이베르그스(Dzintars Dreibergs) 감독의 영혼의 눈보라(2019) 등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Letland §5. Geschiedeni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2002
[2] 웹사이트 Latvijas Atbrīvošanas kaŗa vēsture http://www.latvietis[...] 2023-10-18
[3] 서적 Ülevaade Eesti Vabadussõjast (1918–1920) (Overview on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2010-08-22
[4] 서적 (정보 부족)
[5] 웹사이트 http://www.ksk.edu.e[...] 2010-08-22
[6] 웹사이트 http://pygmy-wars.50[...] 2015-12-22
[7] 서적 Latvia in the Wars of the 20th Century Cognition Books
[8] 웹사이트 http://pygmy-wars.50[...] 2015-12-22
[9] 웹사이트 Latvijas Brīvības cīņas http://www.arhivi.lv[...]
[10] 웹사이트 Eesti Vabadussõda http://www.estonica.[...] 2022-11-02
[11] 서적 Von den baltischen Provinzen zu den baltischen Staaten 1918-1920 J. G. Herder-Institut
[12] 서적 Jaunāko laiku vēsture 20. gadsimts Zvaigzne ABC
[13] 학술지 The Baltic States from 1914 to 1923: The First World War and the Wars of Independence http://www.bdcol.ee/[...] 2009-03-19
[14] 뉴스 Shooting the Bolsheviks: White terror after freeing Rīga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9-05-24
[15] 서적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1918–1920 Esto
[16] 뉴스 The republic on the sea: The 1919 coup that exiled the Latvian government to a steamboat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9-04-18
[17] 영화 Lāčplēsis https://www.imdb.com[...] 1930-03-03
[18] 웹사이트 Lāčplēsis (1930) https://www.filmas.l[...]
[19] 웹사이트 Generalkommando VI Reservekorps http://www.axishisto[...] Axis History
[20] 웹사이트 Latvijas Atbrīvošanas kaŗa vēsture http://www.latvietis[...] 2011-07-13
[21] 서적 Ülevaade Eesti Vabadussõjast (1918–1920) (Overview on Estonian War of Independence) https://web.archive.[...] 2011-02-04
[22] 서적 Eesti. Üld. Eesti entsüklopeedia
[23] 서적 Latvia in the Wars of the 20th Century Cognition Books
[24] 웹사이트 Latvia 1919 https://web.archive.[...] pygmy-wars.50megs.com 2016-12-10
[25] 웹사이트 Latvijas Brīvības cīņas http://www.arhivi.lv[...] 2011-07-25
[26] 웹사이트 Eesti Vabadussõda http://www.estonica.[...] 2016-09-26
[27] 서적 Von den baltischen Provinzen zu den baltischen Staaten 1918-1920 J. G. Herder-Institut
[28] 서적 Eesti Entsüklopeedia 5 Valgus
[29] 서적 Jaunāko laiku vēsture 20. gadsimts Zvaigzne A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